좋은 글

좋은 글 몸, 마음, 영혼의 삼위일체

2014.03.02 14:26

구름이 조회 수:9436

                                                                     

             

            

             누가 몸이 아프다면 그런다, 농담 삼아, '마음 보를 곱게 써야지'. 근데, 이건 단순한 농담이 아니다.  사실이 그렇다.

몸이 아프면 마음은 어떤지, 영적 상태는 어떤지를 함께 살펴야 한다.

마음이 괴롭고 힘들고 만사가 귀찮아질 때도 마찬가지다. 몸 상태가 어떤지, 영적 상태는 어떤지를 함께 살펴야 한다.

영적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도 마찬가지다. 인간 존재의 더 큰 비전을 볼 수가 없고, 근원도 잘 알 수 없는 깊은 곳에서

올라오는 고독을 맛보면서 생명을 향한 움직임이 거의 일어나지 않을 때 말이다. 그땐 역시 몸 상태가 괜찮은지,

심리적 어려움은 없는지를 함께 살펴야 한다.


우리 인간 존재는 몸과 마음과 영혼이 완전한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하나의 존재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몸과 마음과 영혼, 이 셋 중 어느 하나라도 없어지면 나머지 둘만 남아 불완전한 인간 존재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셋이 동시에 다 없어져 버린다. 이 셋이 온전히 함께 그리고 동시에 하나의 균영과 조화를 이루고 있을 때 비로소 한 명의

인간이 존재하게 된다.


몽이 가는 곳에 마음과 영혼이 따라간다.

마음이 가는 곳에 몸과 영혼이 따라간다.

영혼이 가는 곳에 몸과 마음이 따라간다.

몸은 마음과 영혼 상태를 반영한다.

마음은 몸과 영혼의 상태를 반영한다.

영혼은 몸과 마음의 상태를 반영한다.


늘 전체로서 알아들어야 한다. 부분으로 쪼개어 한 부분에 대해서만 알아들어서는 안 된다.

몸을 양이라고 하면 마음은 음이라고 할 수 있다.

영혼은 그 몸과 마음을, 양과 음을 연결하는 연결고리다. 관계를 규정하는 함수다.

이 영혼은, 이 관계성을 규정하는 원리는, 철저하게 같고 그런 의미에서 하나다.

크거나 작거나, 혹 많거나 적거나 하는 차이가 있을지는 몰라도 철저하게 하나의 존재를 이루고 있다. 이런 점을

카톨릭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여 모든 인간들이 하나의 존재, 한 몸을 이루고 있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몸이 얼마나 귀중한지 알겠는가? 왜 뼈가 단단해져야 하고 배가 불러야 하며 얼굴에 윤기가 흘러야 되는지 알겠는가?

그저 근육질의 람보 같은 몸매를 만들거나, 화장을 짙게 하고 지방 흡입시술을 하며 허리를 가늘게 하는 것과는

다른 차원에서 몸을 잘 가꾸고 아름답게 다듬어야 되는 이유를 알겠는가? 몸을 통해 내 존재 전체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살아가며 겪는 온갖 마음의 움직임들이 얼마나 귀중한지 알겠는가? 기쁨과 평화를 맛보고 사랑의 따뜻함을 체험하는 것이

얼마나 귀중한 것이니 알겠는가? 어려움을 견뎌내고, 목마름으로 기다리고, 온갖 것을 넉넉한 품으로 감싸 안을 줄 아는 마음이

엄마나 중요한지 알겠는가? 마을을 통해 내 존재 전체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존재의 근원자리와 맺고 있는 관계의 여하인 영혼이 얼마나 귀중한지 알겠는가?

몸과 마음의 다양햔 변화 속에서도 한결같은 몸짓으로 움직이고 있는 영혼에 눈뜸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겠는가?

이 하찮아 보이는 존재가 바로 그 모든 존재의 근원이 되는 분과 연결되어 그 분의 생명, 그 분의 사랑을 숨쉬며 있음을

보는 것이 얼마나 귀중한 알겠는가? 그 영혼의 기운이 생명을 향해 나아가며 살아 있어야 함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겠는가?

영혼을 통해 내 존재 전체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몸과 마음과 영혼이 이렇게 하나가 되어, 삼위일체가 되어 움직이고 있는 아름다운 신비 앞에 잠시 넋을 잃는다.

 

                                                                                                              '없는 것' 마저 있어야             유시찬 신부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60 (33일 봉헌) 제 28 일 - 십자가에서 죽으신 그리스도 2013.08.22 10836
159 먼저 마리아를 발견해야만 한다. - 마리아의 비밀 (2) file 2014.04.16 10818
158 이슬람인들의 성모님 2014.11.23 10810
157 성 프란치스코 2013.08.23 10792
156 위령성월에는 성모송 10번에 100명의 연옥 영혼을 구할 수 있다! file 2015.11.04 10783
155 3 - 복되신 동정 마리아, 내가 사랑하는 여인 - 복자 풀톤 쉰 대주교 - 2014.02.05 10777
154 사랑이신 성령께 2013.08.18 10770
153 2014년 7월 28일 메주고리예 성모님의 특별한 발현 2014.11.23 10736
152 다섯째 계명, 살인하지 마라 – 낙태 2 2014.11.23 10711
151 상처 2013.08.14 10705
150 예수님께 정향된 삶 2013.07.17 10667
149 사랑으로 우리를 구원하신 주님 2013.08.26 10591
148 33일 봉헌 - 제 22 일 - 그리스도의 어머니시며 그 신비체의 어머니이신 마리아 file 2013.08.23 10583
147 당신을 배반한 자가 저입니까? 주님... 4월 16일 (수) 메주고리예 강론 file 2014.05.28 10572
146 자녀를 위한 기도 2013.08.17 10571
145 파우스티나 성녀의 일생에 대한 동영상 2014.02.24 10569
144 회심하는 인간 (영적 합리와 하느님의 뜻) -송봉모 신부님 file 2015.12.29 10567
143 (33일 봉헌) 묵상기도를 돕기 위한 길잡이 2013.08.22 10566
142 십자가를 바라볼때 2013.08.27 10558
141 사랑하는 자녀들아, 연옥 영혼들을 위하여 기도하여라! 2013.11.03 10553
bot_3.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