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헌을 위한 33일간의 준비


봉헌식을 위한 안내와 봉헌 예절

 

 1. 봉헌식을 위해 준비해야 할 사항

 

 33일간의 준비가 끝나면 미사 전례나 혹은 간단한 예식을 통해 봉헌식을 갖게 되는데 몽포르의 루도비코 성인은 봉헌식 당일에 해야 할 것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둘째 시기 셋째 주가 끝나면 성모님의 손을 통해 자신을 사랑의 종으로 예수 그리스도께 완전히 바친다는 의향을 가지고 고해성사영성체를 해야 한다영성체 후에는 이미 제시된 규칙대로 봉헌문을 바쳐야 한다인쇄된 봉헌문이 없으면 직접 쓰더라도 봉헌 당일에 자신이 바치는 봉헌문에 서명해야 할 것이다그리고 이날에는 자신이 지금까지 세례 때 했던 약속에 성실치 못했던 것을 보속하기 위하여나 예수님과 성모님께 예속된 사람이라는 표지로 예수 그리스도와 그분의 거룩하신 어머니께 조그만 선물을 바치는 것이 좋다이 선물은 각자의 신심과 능력에 따라 어떠한 것이라도 된다 예컨대 단식 한 번희생 한 가지또는 애긍을 하거나 혹은 한 자루의 초를 바치는 것 이라도 된다지극히 작은 것이라도 기쁜 마음으로 드리면 우리의 선한 마음을 굽어보시는 예수께서는 이를 만족해 하실 것이다" (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231-232.)

이미 살펴본 대로 이 봉헌은 우리의 모든 것을 하느님의 것으로 인정하는 행위이며 지금까지의 어긋난 삶을 개선하고 성모님을 통한 예수 그리스도와의 새 삶을 다짐하는 세례성사의 갱신이다그러므로 성모님께 그리고 성모님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께의 봉헌식을 갖기에 앞서 다음과 같은 준비가 필요하다.

1. 그동안의 묵상과 기도를 통해 깨닫게 된 자신의 죄와 악습을 없애고 깨끗이 하는 마음으로 봉헌식을 하기 전에 고행성사를 꼭 받도록 한다

2. 하느님의 은혜에 감사드리고자신의 모든 잘못을 뉘우치며 새로운 결심을 다짐하고자신에게 속한 모든 것을 성모님의 손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께 바치는 의향으로 자신의 봉헌문을 작성한다그리고 성모님의 사업을 돕기 위한 봉헌금도 준비한다.

3. 봉헌은 세례성사의 갱신이므로 세례성사를 받는 마음가짐으로 자신의 주변을 정리하도록 한다. 즉 불목한 친지나 이웃이 있으면 봉헌식을 하기 전에 화해하고집 안을 깨끗이 청소하며개인 물건이나 소지품을 정리한다.

4. 봉헌식 당일에는 목욕을 하고 외모를 단정하게 한다가능하면 남자는 양복이나 한복여자는 한복을 곱게 차려 입도록 한다.

5. 루도비코 성인의 권유처럼봉헌식 당일에 예수님과 성모님께 영적인 선물을 바치면 더욱 좋다.

 

2. 무엇을 봉헌할 것인가

 

그러면 무엇을 봉헌해야 할 것인가? 이 봉헌식을 통해 성모님께 봉헌해야 하는 것에 대해 루도비코 성인은 이렇게 말한다. “그러므로 이 신심은 마리아를 통하여 완전히 예수 그리스도의 것이 되기 위해서 어머니 마리아에게 자신을 완전히 바치는 데에 있다우리가 마리아께 바쳐야 하는 것은 첫째우리의 몸과 몸의 모든 기능,

둘째우리의 영혼과 영혼의 모든 능력, 셋째우리의 외적인 재화즉 현재와 미래에 갖게 될 모든 물건 및 재산, 넷째우리의 내적이고 영적인 제화즉 과거현재미래의 우리의 모든 공로와 덕행과 선행이다. 다시 말하면자연의 질서에서 그리고 은총의 질서에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을 마리아께 티끌 하나 남김없이 전부 바쳐야 한다즉 한 푼의 돈머리카락 한 오라기손톱만한 작은 선행도 우리는 남겨두어서는 안 된다또 우리가 이러한 희생과 봉사를 한다 하여 마리아에 의해 마리아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께 속해 있다는 영예 이외에 그 어떤 다른 보수를 요구하거나 희망해서도 안 된다설사 마리아가 모든 피조물 가운데서 가장 너그럽고 자애로운 분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 그럴 리는 없지만 - 우리는 모든 것을 무조건 바쳐야 한다” (성모님께 대한 참된 신심121).

따라서 성모님께성모님의 손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께 봉헌해야 할 것은 다음과 같다

1. 몸과 몸의 모든 기능,

2. 영혼과 영혼의 모든 능력,

3. 외적인 재화로서 현재나 미래에 갖게 될 모든 물건 및 재산,

4. 내적이고 영적인 재화로서 과거, 현재, 미래에 갖게 될 모든 공로와 덕행과 선행,

5. 하느님과 사람들로부터 받은 모든 은총들,

6. 부모자녀형제친척친구 등 내가 아는 모든 이들,

7. 자신이 속한 공동체(가정직장국가)등 모든 것을 남김없이 가장 완전하게 예수님께 바치는 것이다.

  우리가 매일매일 실천하는 선행과 영신적인 모든 공로를 분배하고 처분할 권리까지도 성모님께 위탁하고 바치게 되면 성모님께 바침과 동시에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께 바치는 것이 된다.

 

3. 봉헌 예절

 

봉헌 예절은 사제의 주례로 여러 사람이 함께 미사 중에 하거나, 사정에 따라서는 말씀 전례 혹은 소수의 사람들이 함께 모여 간단한 예식으로 할 수도 있다. 봉헌식을 장소는 성당이 가장 좋으며 다른 장소를 이용해도 된다.

봉헌 예절을 위해 준비해야 할 것은 다음과 같다.

1. 성모상을 모시고 꽃과 초로 아름답게 꾸민다.

2. 봉헌된 사람이라는 표지로 입는 성의인 스카풀라를 봉헌할 사람의 수만큼 준비하고 스카풀라 축성을 위한 성수와 성수채도 준비한다.

3. 봉헌문과 봉헌 예물을 담을 바구니를 준비한다.

미사 중에 봉헌식을 할 경우에는 이 책에 있는 성모님께 대한 봉헌 미사와 예절을 이용하고, 개인적으로나 소수의 신자들만으로 봉헌식을 하게 경우에는 다음의 예식을 참조하여 나름대로 변경할 수 있다.

 

사제 없이 신자들만의 봉헌식

1. 자신의 봉헌을 위한 지향으로 미사에 참례하고 영성체한다.

고해 성사는 당일이나 미리 받도록 한다.

2. 시작 성가

3. 성경 봉독 : 요한 복음 19,25 - 27

4. 성모님의 현존을 의식하며 묵상하기 (10- 30)

5. 성세서원 갱신

6. 봉헌문 낭독 (개인 단체 봉헌문)

7. 축성된 스카풀라 착의

8. 마침 성가

 

성모님께 감사드리고 봉헌으로 인한 새 삶을 다짐하면서 봉헌식 중에나 끝난 후 성모님 앞에서 묵주기도를 드릴 수도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sort
43 여러 가지 봉헌문 admin 1234   2018-01-23
여러 가지 봉헌문 1. 몽포르의 성 루도비코의 봉헌기도 오 강생하신 영원한 지혜시며, 지극히 사랑하올 예수님, 주님은 참 하느님이시며 참 사람이시요, 영원하신 성부의 아들이며 평생 동정이신 마리아의 아들이시나이다. 마음 깊이 주님을 흠숭하오며, 아버...  
42 봉헌식 이후 의 삶 - 봉헌의 생활화 admin 1173   2018-01-23
봉헌식 이후의 삶 - 봉헌의 생활화 봉헌식은 이제부터 시작되는 삶을 위한 시작이며 일종의 문이다. 지금까지의 33일간의 정화와 인식의 과정 역시도 봉헌을 생활화하기 위한 길을 닦은 것에 비길 수 있다. 봉헌은 바로 성모님을 통하여, 성모님과 함께, 성모...  
» 봉헌식을 위한 안내와 봉헌 예절 admin 1580   2018-01-23
봉헌식을 위한 안내와 봉헌 예절 1. 봉헌식을 위해 준비해야 할 사항 33일간의 준비가 끝나면 미사 전례나 혹은 간단한 예식을 통해 봉헌식을 갖게 되는데 몽포르의 루도비코 성인은 봉헌식 당일에 해야 할 것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둘째 시기 셋째 주...  
40 기도문 모음 admin 2216   2018-01-23
성령송가 오소서, 성령님, 당신의 빛 그 빛살을 하늘에서 내리소서. 가난한 이 아버지, 은총의 주님, 오시어 마음에 빛을 주소서. 가장 좋은 위로자, 영혼의 기쁜 손님, 생기 돋워주소서. 일할 때에 휴식을, 무더울 때 바람을, 슬플 때에 위로를. 지복의 빛이...  
39 33일 제4장 제7일, 마리아를 통하여 그리스도께로 admin 2263   2018-01-23
33일 봉헌 33 일 제 4장 제7일, 마리아를 통하여 그리스도께로 이제 우리는 마리아께의 온전한 봉헌을 위한 최종적인 준비단계에 이르렀다. 우리가 앞서 고찰한 것들은 이 봉헌이 얼마나 아름답고 타당한 것인지를 보여주는데, 마리아께 봉헌됨으로써 예수 그...  
38 32일 제4장 제6일, 그리스도 안에서의 변화 admin 1938   2018-01-23
33일 봉헌 32일 제 4장 제6일, 그리스도 안에서의 변화 인간을 죄와 죽음에서 구원하기 위해 오신 그리스도를 우리가 점점 더 잘 알게 되고 더욱 충실히 따르고자 한다면 우리는 점차 그리스도 안에서 변화되어 갈 것이고 그리스도를 통하여 그리스도 안에서 ...  
37 31일 제4장 제5일, 세례성사의 갱신인 그리스도께의 봉헌 admin 2046   2018-01-23
33일 봉헌 31일 제 4장 5일, 세례성사의 갱신인 그리스도께의 봉헌 십자가에서 피 흘려 죽으신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나는 잃어버린 은총의 지위를 되찾았고 생명을 얻게 되었으며 하느님과 화해하게 되었다. 그리스도 덕분에 나는 세례성사를 통해 무죄한 사...  
36 30일 제4장 4일, 모든 신심의 궁극 목적이신 그리스도 admin 2112   2018-01-23
33일 봉헌 30일 제4장 4일, 모든 신심의 궁극 목적이신 그리스도 참 하느님이시며 참 사람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신심의 궁극적이고 최종적인 목적이시며, 성모님을 통하여 우리의 봉헌을 받으시는 분이시다. 그분은 알파요 오메가, 모든 것의 시작이...  
35 29일 제4장 제3일, 생명의 빵이신 그리스도 admin 2119   2018-01-23
33일 봉헌 29 일 제 4장 제3일, 생명의 빵이신 그리스도 그리스도께서는 돌아가시기 전에 우리에게 사랑의 두 가지 선물을 주셨는데 그것은 지극히 거룩한 성체성사를 통하여 당신의 살과 피를 주신 것과 또 당신의 어머니를 우리의 어머니로 주신 것이다. 특...  
34 28일 제 4장 2일, 십자가에서 죽으신 그리스도 admin 2085   2018-01-23
33일 봉헌 28일 제 4장 2일, 십자가에서 죽으신 그리스도 하느님은 인자하시고 자비로우신 분이시지만 동시에 공의로우시며 정의로우신 분이시다. 그래서 그분은 성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인간의 죄를 물으심으로써 당신의 정의를 드러내셨다. 그리스도께...  
33 27일 제4장 제1일, 죄인을 부르러 오신 그리스도 admin 1880   2018-01-23
33일 봉헌 27일 제4장 제 1일, 죄인을 부르러 오신 그리스도 만물의 창조주이신 하느님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사람이 되셨다. 그리고 그리스도께서는 사람으로 이 세상에 오셔서 하늘나라에 관한 가르침과 치유와 죄의 용서를 통해서 하느님의 자비의 사랑...  
32 제4장 둘째 시기 제3주 예수 그리스도를 인식하기 admin 1657   2018-01-23
33일 봉헌 제4장 둘째 시기 제3주 예수 그리스도를 인식하기 이번 주에 할 것에 대해 루도비코 성인은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인식하기 위하여 이 셋째 주간을 보내야 합니다. 사람은 알지 못하는 것을 사랑하지 못하는 법입니다. ...  
31 26일 제3장 제7일, 마리아 공경의 필요성 admin 2087   2018-01-23
33일 봉헌 26일 제3장 제7일, 마리아 공경의 필요성 교회의 신비 안에서 어머니와 동정녀로서의 탁월하고 독자적인 모범을 보여줌으로써 뛰어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마리아께서는 모든 천사와 사람들 위에 들어높임을 받으셨으며 지극히 거룩하신 하느님의 ...  
30 25일 제3장 제6일, 묵시록의 여인 admin 1994   2018-01-23
33일 봉헌 25일 제3장 제6일, 묵시록의 여인 마리아는 어머니로서 언제나 당신 아드님을 앞서 오신다. 아드님이 다시 오실 때에도 역시 마리아는 아드님을 위해 길을 닦으실 것이며, 그때 마리아는 태양을 입은 여인으로서 구세사의 마지막 싸움을 지휘하실 ...  
29 24일 제3장 제5일, 사도의 모후이신 마리아 admin 1957   2018-01-23
33일 봉헌 24일 제3장 제5일, 사도의 모후이신 마리아 사도직의 본질은 사람들의 영혼 안에 계신 그리스도를 드러내는데 있으며 이것은 인류의 어머니이시며 교회의 어머니로서의 마리아의 사명이다. 그러므로 마리아 공경과 사도직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  
28 23일 제3장 제4일, 은총의 중개자이신 마리아 admin 2120   2018-01-23
33일 봉헌 23일 제3장 제4일, 은총의 중개자이신 마리아 은총의 질서에 있어 예수님의 첫 번째 기적, 즉 세례자 요한을 어머니 엘리사벳의 태중에서 성화시킨 것과 자연의 질서에 있어 예수님의 첫 번째 기적인 물이 포도주로 변하게 된 것은 마리아의 전구를...  
27 22일 제3장 제 3일 그리스도의 어머니이시며 그 신비체의 어머니이신 마리아 admin 2204   2018-01-23
33일 봉헌 22일 제3장 제 3일, 그리스도의 어머니이시며 그 신비체의 어머니이신 마리아 마리아의 위대함과 존귀하심은 무엇보다도 마리아께서 하느님의 어머니시라는데 그 근거를 두고 있다. 성자께서는 마리아를 통해서 이 세상에 오셨다. 마리아는 하느님...  
26 21일 제3장 제2일, 성령의 정배이신 마리아 admin 2230   2018-01-23
33일 봉헌 21일 제3장 제2일, 성령의 정배이신 마리아 마리아의 전 생애는 늘 성령의 인도 하에 있었다. 성서는 마리아에 대해 많은 것을 언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신약성서에 있어 마리아께 대한 최초와 최후의 언급이 마리아를 성령과 결부시키고 있는 점이 ...  
25 20일 제3장 제1일, 지극히 거룩하신 성삼위와 마리아 admin 2284   2018-01-23
33일 봉헌 20일 제3장 제1일, 지극히 거룩하신 성삼위와 마리아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의 신비에 마리아만큼 깊이 다가가고 마리아만큼 깊이 받아들여진 조물은 없다. 그러므로 하느님의 각 위(位)에 대한 마리아의 관계에 사랑을 가지고 깊이 몰두하는 사람은 ...  
24 제3장 둘째시기 제2주 : 성모님을 알고 사랑하기 admin 1722   2018-01-23
33일 봉헌 제3장 둘째시기 제2주 : 성모님을 알고 사랑하기 이번 주간 동안에는 성모님을 알고 사랑하기 위하여 기도하고 묵상하는 데에 주력해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성모님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께 봉헌되고 예수 그리스도와 일치해야 하는데 예수 그리...